2011/10/09 -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 존 르 카레 (열린책들, 2005)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감독 토마스 알프레드슨 (2011 / 영국,프랑스,독일)
출연 게리 올드만,콜린 퍼스,톰 하디
상세보기

  내가 렛 미 인의 팬이라는 건 이 영화를 볼 수밖에 없었다는 뜻이 된다. 한국에서 그다지 흥행하지 못했다는 소식을 듣고 아 그럴만 하다 라는 생각을 했다. 감독의 전작은 그렇다치더라도, 원작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은 '스파이'라는 소재를 듣고 007 시리즈를 떠올리지 않았을까. 하지만 이 영화는 액션이 난무하고 박진감 넘치는 스파이 영화가 아니다. 박진감이라는 게 사람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지만은 내 딴에는 아주 조용히 숨을 죽이고 감상해야 했던 그런 영화였다. 원작을 봐서 모든 걸 알고 있었음에도 연출 방식과 전개 방식에 만족한 편이었다. 아, 그래도 짐 프리도(마크 스트롱) 캐릭터의 사소한 변화에 관해서는 섭섭한 마음이 남아 있기는 하다만...

  게리 올드만이 조지 스마일리에 캐스팅 되었다는 걸 알게 되었을 때 잘 어울리겠다 생각은 했지만, 영화를 보고 나니 더 마음에 들었다. 카를라를 회상하는 조지 스마일리의 모습은 책 속의 그것이었는데, 아무튼 회상 장면 하나 없이 그를 떠올리는 게리 올드만의 연기가 탁월했다. 좁은 어깨에 지워진 무거운 세월과 짙은 피로가 보이는 듯한 기분이었다. 이 장면이랑, 피터 길럼(베네딕트 컴버배치)이 연인과 헤어지고 나서 우는 장면. 짧은 데도 참 인상에 남더라.

  피터 길럼 하니까, 피터가 자료실에서 자료를 빼오는 장면도 좋았다. 최대한 덤덤하게 그리고 어떻게 생각하면 얕은 수를 가장 교묘하게 썼어야 하는 거였는데... 그거 너무 잘해서 좋았음. 그 와중에 긴장할 만큼 긴장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았고. 이 첩보 시리즈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건 조지 스마일리가 아니라 피터 길럼이었기 때문인가 보면서 더 애정을 주었던 것도 같다.

  책보다는 영화가 더 액션이 있었다. 그렇다고 물론 다른 스파이 영화처럼 그런 건 아닌데, 그래도 책에서 읽던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리키 타르(톰 하디)의 작전 과정과 짐 프리도의 고문 과정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이리나(스베트라나 코드첸코바) 캐릭터 다뤄지는 거 보고서 깜짝 놀랐다. 아니 뭐 이리나를 이리저리 곱게 다뤄주어야 한다는 건 아닌데, 그래도 좀 놀랐다.

  정보국 고위 간부급에 침투된 스파이를 찾아내는 만큼 그 고위 간부급 캐릭터들도 가볍게 다뤄질 애들이 아니었는데... 로이 블랜드(시아란 힌즈)는 좀 심심하긴 했는데 나머지는 다 좋았다. 뻔뻔스러운 신사 느낌의 빌 헤이든(콜린 퍼스)야 말할 것도 없고, 무거운 인상으로 하지만 머리를 가장 많이 굴리고 있을 것 같은 퍼시(토비 존스)도 좋았고... 의외로 가자 좋았던 건 토비 에스터헤이즈(다비드 덴칙). 어떻게 보면 가장 먼저 조지에게 걸려든 것 같은 느낌이지만 그 때의 연기도 발군이었고ㅎㅎ 난 이런식으로 비굴할 때 비굴한 캐릭터들이 사랑스럽기도 해서 그른가.

  범인 밝혀졌다고해서 우와! 뭐 이런 건 전혀 없었다. 내가 미리 책 읽어서는 아니고... 그냥 내용이 그랬다. 누가 봐도 그렇지 않았을까. 그 범인이 드러나기 직전까지 장소를 드나드는 사람들을 보면서 다들 누가 범인인가, 누가 범인인가 이거에 집착하진 않게 되지 않았을까. 범인이 누구냐보다는 범인이 왜 그런 길을 선택했느냐가 더 듣고 싶었다. 그리고 그 역할을 그 분은 뻔뻔스레 잘 해내더라. 하지만 동시에 그 설명을 들으면서 그렇게 느낄 만도 하다는 수긍이 간다면 나쁜 것일까.

  콘트롤(존 허트)이 살아있을 때의 마지막 파티 장면이 계속 교차되는데 정보국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의 캐릭터가 보여지기도 하고, 동시에 그런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이 겪을 내면의 복잡함까지도 보이는 편집이었다. 짐 프리도와 빌 헤이든, 조지 스마일리를 보며 느끼는 감정은 또 달랐고.

  별거 아닌데 리키 타르 영화 내에서 제일 젊은 데 제일 촌스러웠다. 뭐 임마... 하긴 젊은 애들이 유행을 따르는 법이겠지요.

미스 페티그루의 어느 특별한 하루
감독 바랫 낼러리 (2008 / 영국)
출연 에이미 아담스,프란시스 맥도맨드
상세보기

  국내 포스터만 보고 에이미 아담스가 페티그루인줄 알았잖아... 아니었네요. 아무튼 1930년대에 나왔던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영화라고 한다. 책을 안봐서 책이랑 비교는 불가능하고. 직장을 잃고 갈 데 없는, 보수적인 미스 페티그루(프란시스 맥도맨드)가 우연히 미국인 연기자 델리시아 라포스(에이미 아담스)의 매니저로 일하게 되면서 겪는 단 하루 동안의 이야기. 하루 동안의 이야기를 다룬 것 답게 진행이 빠르며 동시에 재치 있었다. 다만 내용이나 사건의 진행, 해결 자체는 좀 가볍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델리시아는 사랑스럽다. 바람둥이에다가 꿈만 화려한 여자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지만, 그래도 나름 삶의 바탕에 깔린 가난을 생각하면 이해가 될 법도 했다. 극단주의 아들인 필(톰 페인), 막대한 부를 지닌 클럽 주인 닉(마크 스트롱), 가난하지만 그녀를 있는 그대로 사랑해주고 열정있는 피아니스트 마이클(리 페이스) 중에서 누굴 선택할지는 스토리상 자명하니 일이었지만, 이게 소설 속 캐릭터가 아니라 실제 사람이라면 누굴 선택했을까 궁금해지기도 했다. 삶은 한번 뿐이라는 이유로 마이클을 선택할 수 있었을까? 그렇게 허영심 강하고 꿈 많은 소녀가? 하긴 인간적인 면에서는 마이클 쪽이 가장 낫긴 했다. 필은 너무 어렸고(행동거지까지), 닉은 너무 강압적인 마초 이미지라 싫었음. 델리시아가 조를 두고 바람을 피우면서도 뻔뻔하게 굴었던 에디스(셜리 헨더슨)처럼 아예 속물적이진 않은 사람이라는 데 희망을 걸어야 한다니.

  페티그루에게는 꿈과 같은 하루 동안의 이야기. 순발력있고, 나름의 기준이 있다는 점에선 좋았지만 사실 그 외에는 잘 모르겠더라. 그녀의 구원은, 그 실마리는 그녀가 제시하긴 했지만 결국 남자에 의해 이뤄졌다는 점에서 슬펐다. 란제리 디자이너 조(시아란 힌즈)는 좋은 사람이었다. 좋은 사람이었지만, 왕자님 같은 위치에 서 있어서 썩 괜찮은 해결 방법 같지는 않았다. 게다가 너무 동화적이고... 페티그루에게 닥친 가난이라는 문제상황의 해결이 좀 아쉬웠다.

  보고나서는 비판할 게 있다만, 그래도 볼 때에는 즐겁게 볼 수 있었다. 달콤하고 상냥한 이야기.

셜록 홈즈
감독 가이 리치 (2009 /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출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주드 로, 레이첼 맥아덤즈, 마크 스트롱
상세보기

  음. 뭘 쓸 수 있을까. 이거 감상을 적어야겠다고 생각하긴 했는데, 막상 펼치니 생각나는 말은 되게 한정적인 것들 뿐이라서 놀랐다. 재미있게 보긴 했지만 딱 그만큼이라는 소리다.

  이 영화는 홈즈 팬들이 좋아할 만한 영화는 당연히 아니었다. 다행히 나는 홈즈 팬도 아니고, 전형적인 헐리웃 스타일 영화에 거부감이 없어서 그런지 재미있게 봤다. 로다쥬와 주드 로를 둘다 좋아하니까 물론 그것도 한 몫 했고. 뭐 어쨌든 영화는 재미있기는 하다. 완전히 헐리웃 스타일로 사건해결을 할 뿐. 이 영화가 셜록 홈즈(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왓슨(주드 로)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이유는 그냥 캐릭터 짜기가 귀찮았던 거 아닐까, 그런 생각도 든다.

  영화 안에서 셜록은 완전히 머리 잘굴러가는 똑똑한 탐정이고, 그의 사건 해결은 항상 일사천리다. 블랙우드(마크 스트롱)의 범죄들? 그냥 타이밍이 늦은 것 뿐이지 셜록은 모든 걸 다 알고 있다.

  그럼 셜록이 할 수 없는 건 무엇인가? 그건 인간관계에 얽힌 부분 뿐이다. 왓슨이 자기를 떠나 메리(켈리 라일리)와 결혼할 거라는 걸 막을 수 없다는 것? 아름다우며 또한 범죄에 탁월한 재능을 가진 여자 아이린(레이첼 맥아담스)과의 연애에서 중학생 소년처럼 군다는 거? 일에 있어서는 완벽하지만 인간관계를 다루는 재량은 그다지 뛰어나지도 않고, 왜 잘못됐는지도 모른다는 게 캐릭터에 있어 매력으로 작용했다. 셜록은 어린애같다. 그는 왓슨에게 끊임없는 애정을 갈구하고, 그가 자신을 떠나는 걸 당최 받아들이질 못한다. 왓슨은 왓슨대로 그에 길들여져 있다. '우리'가 아니라 '너'야, 라면서 냉정하게 굴지만, 결국 왓슨은 셜록과 함께이지 않은가. 셜록과 왓슨이라는 두 캐릭터의 조합은 그래서 재미있다. 투닥대지만 끊어낼 수 없는 인간관계를 보여주고 있었으니까.

  그러나 여전히 아직도 잘 모르겠는 것은 왜 이 영화가 '셜록 홈즈'라는 제목을 달고 나왔어야 했는가다. 캐릭터를 완벽하게 따오지도 않을 거였다면, 그냥 다른 가상의 주인공을 세워도 됐을텐데. 그런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그러나 그런 점만 뺀다면, 오락 영화로서 셜록 홈즈는 정말 재미있었다. 후편도 기대하는 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