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트 어벤져
감독 조 존스톤 (2011 / 미국)
출연 크리스 에반스,휴고 위빙,토미 리 존스,헤일리 앳웰
상세보기

  영화 감상의 끝은 우왕 드디어 미션 완료! 어벤저스 관련 시리즈 다봤다...! 였으니 크게 감동받았다는 뜻은 못되겠다. 그래도 뭐 순위 매기자면 아이언맨1>퍼스트 어벤져>인크레더블 헐크>아이언맨 2>토르 쯤은 매겨줄 수 있으려나... 사실 아이언맨 1이랑 토르 때면 다 고만고만 한 거 같고. 그나마 어벤저스 시리즈에 엄청나게 종속되어 있단 느낌은 아니어서 좀 낫긴 했다. 토니 스타크 애비인 하워드 스타크(도미닉 쿠퍼)가 나오는 거랑 아이언맨 2에 나오는 큐브였나 그런 거 잠깐씩 나오는게 흥미롭긴 했는데 그래도 비중 더 줄였어야 했다는 느낌도 들고.

  미국색이 넘치는 영웅이라는 편견이 가득가득한 영화가 캡틴 아메리카, 스티븐 로저스(크리스 에반스)를 내세운 이 시리즈인데 나름대로 그 색을 가리려고 노력은 했더라. 그래도 그 유니폼이 촌스럽고 뭔가 껄쩍지근한 느낌이 든다는 건 바뀌지 않아. 전쟁 상황에서 마스코트 같은 것으로 전락한 캡틴 아메리카의 상황과 그걸 극복하는 장면으로 좀 나아지긴 했지만... 원체 선량한 사람이라 그런가 극복이 대단히 극적이지도 않았다. 아 쓰고 보니 그런 거 같네. 이 영화에 나오는 모든 시련들은 그렇게 극적이지가 않았다... 상관인 체스터 필립스(토미 리 존스)에게 갈굼을 당해도, 아브라함 어스킨(스탠리 투치) 박사를 만나 힘들게 변신을 하여도(이런 변신 과정은 좀 간단해 보이기까지 한다...), 심지어 베스트 프렌드 벅키(세바스찬 스탠)이 죽을 때 조차도 그다지 파급력이 없었다. 연애는 어떻고. 페기(헤일리 앳웰)이랑 그렇고 그런 느낌도 썩 없고 위기도 그냥 그렇구나 싶고ㅎㅎㅎ 이 영화에 굴곡이란 굴곡은 다 있는데 그게 무슨 손가락으로 그린 파동마냥 가볍단 말이다...

 적 설정 또한 조금 모자라고 안습하였다. 레드 스컬(휴고 위빙)이 그렇게 대단한 존재처럼은 안 보여서 문제. 대단한 군사력이랑 그런 거 가진 거 알지만 그냥 단순비교해도 매력도 떨어지고... 그 대단한 군사력 탓인지 뭔지 막상 레드 스컬 본인이 가진 능력에는 의심을 품게 되었다. 1:1로 붙으면 금방 이길 것 같아. 그럴 것만 같아. 그리고 실제로도 그래버렸다... 엥 싱거워요. 마지막에 제트기 끌고 사람들 없는 장소로 추락을 각오할 때에도 뭐.. 뭐야 너 당연히 그래야 할 것만 같아. 위대한 희생이 아닌 것만 같아...! 이 기분은 뭐지! 싶어졌다니까...

  스토리나 주인공의 설정을 드러내는 데에선 그다지 나쁜 건 없었는데 이상하게 탁 터지는 부분이 없어서 밍숭맹숭 보았던 영화였다. 나쁘진 않은데 손에 땀을 쥐게 하지도 않으니 이건 히어로 물로서는 단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스파이더맨이나 배트맨을 보았던 사람들에게 요 히어로가 가진 고민은 너무나 가볍고, 요 히어로가 힘을 갖게 되고 그것으 활용하는 방식도 물에 물 탄듯 술에 술 탄듯...

  그리고 기대하였던 마른 몸의 스티븐 로저스 합성은...ㅜㅜ 그나마 혼자 나올 땐 그러냐... 하는데 다른 사람들과 나올땐 그 괴악함에 멍때리게 되더라. 슬프다ㅜㅜ

  전부터 보려고 했는데 오늘에서야 봤다.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다룬 드라마인데, 루게릭이 막 발병했을 젊은 시기의 이야기. 사랑을 다뤄서 약간 낭만적이기도 하고, 막 발병했을 시기라는 점에서 절망적인 정서도 있고(하지만 실제 인물이 살아있기 때문에 썩 비극적이진 않았다), 인간 스티븐 킹을 픽션 소재로 잘 활용 한 부분은 좋았다.

  스티븐 호킹(베네딕트 컴버배치)은 막 박사 과정에 들어간 이십대 초반의 청년. 제인 와일드(리사 딜론)를 만나 막 연애를 시작하는 시점이다. 과학학도로서의 재능도 있고 노력도 해서 꽃을 만개해야 하는데, 이 시기에 병이 발병한 것. 고작해야 2년을 버틸 수 있는 병 탓에 스티븐은 위축되기도 하지만 뭐 포기하지 않고 자기 꿈을 밟아나가는 그런 이야기.

  물론 이런 사람 곁엔 주변 도움이 꽤 있다. 아버지(아담 고들리)와 어머니(피비 니콜스)의 도움은 대단한 것이라기 보단 은연중에 깔려 있는 것이었다. 또 학문적인 면에서 이야기가 많이 이뤄지다 보니 담당 교수인 데니스 시아머(존 세션즈), 동료 학자라 할 수 있는 로저 펜로즈(톰 와드)와의 조합이 꽤 괜찮았음. 제인 와일드는 따지자면 부모님과 같은 노선이었는데 그보다는 더 나은 입장이었던게, 루게릭 발병 후인 스티븐 고백을 듣고도 그를 받아 들였다는 점에서 그랬다. 학문적인건 거의 스스로 만들어 낸 업적이지만 영화 보는 입장에선 주변의 은근한 도움이 눈에 띄었음.

  프레드 호일(피터 퍼스)의 이론을 반박하면서 대립하게 되는 모습은 좀 재밌었음. 프레드 호일을 너무 경박하게 그려놓은 게 아닌가 싶다만... 뭐 학문계의 싸움이야 독해지려면 얼마든 독해질 수 있으니까. 좀 더 유치하게 그려진게 안타까운 정도.

  아노 펜지어스(마이클 브랜든)와 밥 윌슨(톰 호킨스)의 어수선한 노벨 상 인터뷰 장면은 왜 나오나 했더니, 빅뱅 이후의 복사열 증명이 되는 거라서 나오는 거더라. 난 처음에 아 이거 때문에 진행이 막 끊기네 싶어서 짜증이 났었는데 뒤에 호킹의 이론을 뒷받침할 증거가 따단, 하고 나타나는 거라서 놀랐다. 아이디어는 좋았지만 그래도 그걸 집어넣은 구성은 여전히 별로라고 생각함.

  보면서 음 베네딕트 연기 좋네... 하긴 했는데 사실 내용은 그에 못 미친다는 느낌을 받았다. 아무리 얘네가 이론 설명해봤자 나는 알지 못할 뿐이야... 그냥 발견했네. 오, 이론을 찾았네. 이 정도밖에 이해를 못해서 그런가 보면서 약간 시큰둥. 그게 아쉬움. 난 좀 더.. 뷰티풀 마인드 같은 느낌을 바랐었던 거 같다. 그건 굉장히 매끄럽고 헐리웃느낌이 나게 각색이 된 작품이고, 이건 예산 적은 TV영화긴 하다만 아쉬운 느낌을 버릴 수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