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영국 드라마.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데, 난 작품을 알게 된 게 제레미 아이언스를 검색하다가... 제레미 아이언스가 동명 소설을 읽은 보이스 북으로 책을 알았고, 책을 검색하다가 드라마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었다. 흥미를 느껴서 바로 찾아 봄. 나온 지 삼십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명작으로 이름이 나 있던데 대체 어떻게 만들었는가 궁금하기도 했고. 총 11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봤다. 다 본 감상은 잘 다듬어진 고전 명작을 읽은 느낌이다. 본 게 아니라 읽은 느낌. 서두르지 않았고 고전 소설을 읽을 때의 그 느낌 처럼 이야기가 진행되었다. 좋았는데 좋고도 슬퍼서 원작은 읽고 싶지가 않아졌다. 보통 이런 원작 있는 영활를 보면 소설이 절로 읽고싶어지는데도.

  홀아버지 밑에서 자란 찰스 라이더(제레미 아이언스)가 옥스퍼드에 진학해, 학교의 괴짜 세바스찬 플라이트(앤소니 앤드류스)를 만나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이다. 너드 스타일이었던 찰스가 세바스찬을 만난 뒤 변해가는 모습을 보며 참 신기했다. 찰스는 밝아지고, 건방져졌으며 좀 더 다른 인물이 되었가는데 두 쪽 다 매력이 있었다. 다만 끝까지 약간 우유부단한 태도는 변하지 않았던 것 같다. 천성은 안 변하는 거지. 세바스찬은 처음부터 매력이 팡팡 터지는 캐릭터인데 찰스가 첫눈에 반할 만 했다. 곰인형을 들고 다니며 짓궂은 장난을 일삼는 성인 남자가 매력적일 수 있다니. 그런데 그럴 수 있었다. 그들의 첫만남은 찰스에게 유쾌한 경험은 아니었을망정 불쾌하지도 않았던 것 같다. 그 이후에 세바스찬과 친해지는 과정도 보는 내내 유쾌하고 즐거웠다. 그러나 다시 찾은 브라이즈 헤드에서 씁쓸하지 않은 건 그 둘이 같이 있을 때 뿐이었다.

  찰스가 플라이트 가문의 가족과 섞이게 되면서, 세바스찬이 예견하며 슬퍼했던 대로 찰스는 이 가족과 깊게 연관되었고 그 때부터 불행이 시작된 것 같다. 사실 이렇게 독특한 캐릭터인 세바스찬이 무너질만한 기반은 완벽하게 완성되어 있었는데, 찰스가 끼어들고 그의 다소 어리석은(내눈엔 그랬다) 태도가 섞이어 더 좋지 않은 길로 빠져든 것 같기도 했다. 찰스가 좀 더 세바스찬을 말렸더라면, 혹은 그에게 약간만이라도 강압적인 태도를 보였더라면 세바스찬은 쉽게 돌아왔을 것 같은데. 이건 내가 친구를 대하는 태도가 그런 편이라 그런지 찰스를 보며 답답함만 늘더라. 세바스찬은 너무 자유로웠으나 그는 억압되어 있었다. 그를 이끌어주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던 듯 하다. 모나코에서 찰스가 세바스찬을 끌고가지 않을 때 굉장히 안타까웠었다. 둘 사이에 사랑의 감정이 있었단 건 분명하다. 세바스찬의 아버지 로드 마치메인(로렌스 올리비에)의 정부 카라(스테판 오드랑)가 언급한 것처럼, 육체적인 것은 아니더라도 둘의 사랑은 정신적으로 강했다. 그 강한 유대감도 그렇게 쉽게 흐트러져버린다.

  플라이트 가문 사람들은 세바스찬이 왜 그런 캐릭터를 형성하게 되었는지 그 근원이 되는 사람들이다. 플라이트 가문은 아버지를 제외하고는 전원이 어머니인 레이디 마치메인(클레어 블룸)의 뜻을 따라 가톨릭을 믿고 있다. 영국에서 가톨릭이니 이교도인 셈인데, 큰 아들인 로드 브라이즈헤드(사이먼 존스)와 막내인 코델리아(피비 니콜스)는 굉장히 신실하나, 세바스찬과 그 아래 여동생 줄리아(다이애나 퀵)은 형식만 따르는 신자. 둘 다 어머니에 대한 반감이 조금 있어서 그랬던 것 같다. 아버지는 가톨릭을 믿지 않는데다가 어머니를 피해 베니스에서 정부 카라와 살고 있기에 이 가족은 완전히 모계 위주의 모습을 보여준다. 겉으로는 완전한 듯 하나 그 안에서 썩어가는 것들이 고스란히 보여서 씁쓸했다. 어머니를 좋아하면서도 또 몹시 증오하는 세바스찬이 갈피를 잃을 수 밖에 없었던 배경은 모두 가족에게서 나온다. 특히 어머니 레이디 마치메인을 볼 때마다 나까지 가슴이 답답해졌다. 상냥하고 고상한 말투로 다정하게 세바스찬을 다루지만 본인의 룰 아래에서 아이들을 키우려 했던 것 같다.

  형제들은 첫째 브라이디는 다정한 부분만 제외하면 그야말로 레이디 마치메인과 꼭 닮아 있었다. 게다가 종교 이야기만 나오면 다소 무례하기까지 해서 별로 좋아하지 않았고, 코델리아는 그냥 철없는 아가씨 같았다. 그 코델리아가 나중에 성장하여 차분해진 모습을 보면 저절로 신기해진다. 줄리아의 경우 세바스찬 만큼이나 중요한 캐릭터였다. 초반에는 굉장히 좋아했는데 후반에는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나로서는 갑자기 선해지고 또 마찬가지로 플라이트 가문의 여자가 되어버린 이 캐릭터의 변화를 참을 수 없었던 것 같다. 난 회의주의자인 찰스의 눈으로 줄리아를 봤을런지도. 렉스 모트람(찰스 키팅)과 사귈 당시의 줄리아는 철없었으나 그래도 자신만의 강단이 있었던 것 같은데. 10년 후 찰스와 재회한 뒤의 줄리아까지도 괜찮았는데... 이혼을 거쳐 막상 찰스와 살게 되자 그녀 안에 있던 레이디 마치메인의 피가 살아난 것 같았다. 하긴 그 로드 마치메인 조차도 죽음에 이르러서는 다시 종교인이 되었으니 플라이트 가문의 것이라 해야 할까. 세바스찬도 외국에서 종교에 귀의한 것 같으니. 아 쓰고 보니 이 소설 굉장히 종교적이다. 근데 맞았다. 회의주의자 찰스도 로드 마치메인의 죽음 앞에서는 기도를 했다. 자연스러운 일이었지만... 아쉬웠다. 그러고보니 찰스는 그 때도 줄리아를 붙잡지 않았는데 이런 부분에서도 찰스의 우유부단함이 드러나는 것 같았다. 찰스는 본인의 이혼을 실행할 때만 빼고는 항상 남에게 모든 것을 맡겨 버렸다.

  이상하게 고통스러운 후일담. 그런 소설을 읽은 기분. 그러나 기쁘고, 슬프고, 온갖 먹먹한 감정들이 다 있었기에 좋았다. 이런 게 고전이다 싶은.

  전부터 보려고 했는데 오늘에서야 봤다.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다룬 드라마인데, 루게릭이 막 발병했을 젊은 시기의 이야기. 사랑을 다뤄서 약간 낭만적이기도 하고, 막 발병했을 시기라는 점에서 절망적인 정서도 있고(하지만 실제 인물이 살아있기 때문에 썩 비극적이진 않았다), 인간 스티븐 킹을 픽션 소재로 잘 활용 한 부분은 좋았다.

  스티븐 호킹(베네딕트 컴버배치)은 막 박사 과정에 들어간 이십대 초반의 청년. 제인 와일드(리사 딜론)를 만나 막 연애를 시작하는 시점이다. 과학학도로서의 재능도 있고 노력도 해서 꽃을 만개해야 하는데, 이 시기에 병이 발병한 것. 고작해야 2년을 버틸 수 있는 병 탓에 스티븐은 위축되기도 하지만 뭐 포기하지 않고 자기 꿈을 밟아나가는 그런 이야기.

  물론 이런 사람 곁엔 주변 도움이 꽤 있다. 아버지(아담 고들리)와 어머니(피비 니콜스)의 도움은 대단한 것이라기 보단 은연중에 깔려 있는 것이었다. 또 학문적인 면에서 이야기가 많이 이뤄지다 보니 담당 교수인 데니스 시아머(존 세션즈), 동료 학자라 할 수 있는 로저 펜로즈(톰 와드)와의 조합이 꽤 괜찮았음. 제인 와일드는 따지자면 부모님과 같은 노선이었는데 그보다는 더 나은 입장이었던게, 루게릭 발병 후인 스티븐 고백을 듣고도 그를 받아 들였다는 점에서 그랬다. 학문적인건 거의 스스로 만들어 낸 업적이지만 영화 보는 입장에선 주변의 은근한 도움이 눈에 띄었음.

  프레드 호일(피터 퍼스)의 이론을 반박하면서 대립하게 되는 모습은 좀 재밌었음. 프레드 호일을 너무 경박하게 그려놓은 게 아닌가 싶다만... 뭐 학문계의 싸움이야 독해지려면 얼마든 독해질 수 있으니까. 좀 더 유치하게 그려진게 안타까운 정도.

  아노 펜지어스(마이클 브랜든)와 밥 윌슨(톰 호킨스)의 어수선한 노벨 상 인터뷰 장면은 왜 나오나 했더니, 빅뱅 이후의 복사열 증명이 되는 거라서 나오는 거더라. 난 처음에 아 이거 때문에 진행이 막 끊기네 싶어서 짜증이 났었는데 뒤에 호킹의 이론을 뒷받침할 증거가 따단, 하고 나타나는 거라서 놀랐다. 아이디어는 좋았지만 그래도 그걸 집어넣은 구성은 여전히 별로라고 생각함.

  보면서 음 베네딕트 연기 좋네... 하긴 했는데 사실 내용은 그에 못 미친다는 느낌을 받았다. 아무리 얘네가 이론 설명해봤자 나는 알지 못할 뿐이야... 그냥 발견했네. 오, 이론을 찾았네. 이 정도밖에 이해를 못해서 그런가 보면서 약간 시큰둥. 그게 아쉬움. 난 좀 더.. 뷰티풀 마인드 같은 느낌을 바랐었던 거 같다. 그건 굉장히 매끄럽고 헐리웃느낌이 나게 각색이 된 작품이고, 이건 예산 적은 TV영화긴 하다만 아쉬운 느낌을 버릴 수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