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1세의 인생을 총조명한 것이라기보다는, 인간으로서의 엘리자베스의 모습을 그려내려 노력한 이야기. 일단 연애의 이야기가 중심 이야기로 작용하는 부분이 많아서 그런지 그녀의 정치적 능력보다는 성격이 두드러져 보였다고 생각한다. 이게 1부에서는 조금 더하고, 2부에서는 에섹스를 다루는 그 솜씨 탓에 정치적 능력이 눈에 들어온다. 1부에서는 약하게 느껴지던 모습들이 2부에서는 뚜렷하겨 윤곽이 잡힌다고 할까... 즉위 30년 된 여왕의 힘이 느껴진다.
1편에서의 엘리자베스의 인생과 관련한 이야기라고 하면 역시 결혼 이야기. 이건 물론 왕위 계승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서 중요했다. 충신(을 가장한 가장 아끼는 애인)인 레스터와는 결혼하지 못하는 상황이고, 여러모로 결혼 이야기도 밀려들어오고 해서 결국은 프랑스의 앙주 대공(제레미 코빌롤트)과의 혼담이 오가는데, 생각보다 둘이 말도 잘 통하고 어울렸는데 성공하지 못한 혼담이라 아쉽다. 이미 혼담이 오갈 시기에 앙주 대공과의 나이차가 상당했는데도 둘이 괜찮았다고 그러더라. 하지만 프랑스 쪽의 앙주 대공의 형이 이 결혼을 탐탁잖게 생각했고, 영국 쪽 또한 앙주 대공이 가톨릭교도라는 이유로 거슬려 했어서 오히려 외부 세력에 떠밀려 결혼하지 못했다고. 레스터 쪽에서는 한시름 놓을 일이었지만... 고 레스터도 몰래 결혼해서 애까지 생긴걸 들켜버려서 왕궁 출입을 금지당한다. 이 때 앙주 대공의 하인이 실수인 것 마냥 그 사실을 알리는 모습이 아주 재미있었다. 기무니가 옆에서 "궁중암투로는 저 쪽을 당할 수 없지 않을까" 그러는데 조금 웃었다.
아무튼 레스터가 왕궁 출입 금지당하는 동안, 엘리자베스는 종교 문제로 로마에서 파문당하고, 스페인과는 전쟁을 치룰 위기에 처하고, 암살 위험은 여전히 도사리고, 앙주 공도 죽고... 하는 여러가지 문제가 겹치고 그래서 마음의 안식을 얻고자 레스터를 7년만에 불러내지만 뭐 달달한 연인으로 변신하진 않더라. 이전에도 이미 몇 번이나 거절당한 레스터가 이 쯤 와서는 아예 확실하게 '영원한 친구' 선언을 듣는 장면이 있었다. 불쌍한 레스터... 라는 생각도 많이 안 들었던게 결국 할 건 다 해먹었던 거 같아서. 아무튼 레스터가 돌아온 후에는 구교를 대표하는 스코틀랜드의 메리(바바라 플린)를 사형시키고, 그 때문에 스페인과의 전쟁이 발발하고 고런 일들이 이어진다. 영화에서는 네덜란드 전쟁에 장군으로 참여했던 레스터가 그걸로 인해 병세가 생긴 것 같은 것처럼 나오더라. 2편에서 에섹스가 전장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엘리자베스가 막으려고 하는 장면들은 이런 일에서 기인한 것이다... 라는 설명은 되었다.
스페인과의 전쟁은 승리했지만 이어져 오던 병세 탓에 레스터는 죽는데, 그 오랜 시간동안 제일 총애받았던 레스터가 죽는 장면은 조금 애처로웠다. 죽으면서 자신의 의붓아들인 에섹스를 부탁하는 장면이 나오더라만... 뭐 그 부탁의 의미와 같은 방법으로 보살핀 건지는 모르겠다(...)
2부에서는 레스터의 의붓아들인 에섹스와의 관계가 이야기의 중심을 덮고 있는데 1편보다는 확실히 더 재미있었던 게, 이 에섹스란 녀석이 너무 철이 없고 아기같다 보니까 엘리자베스가 오냐오냐 해주면서도 또 칼같이 잘라내는 진행이 보기 즐거웠다. 처음에 에섹스가 설치는 걸 어디까지 받아주려나 싶었는데 엘리자베스로서는 최대한 관용을 베푸는 모습을 보였다고 생각한다. 왕 앞에서 칼을 뽑아들려는 장면까지 나왔으니 오죽하랴. 레스터가 자신의 능수능란한 정치방법은 가르쳐주지 못한 것인지, 에섹스에서는 그런 게 없어서 어린 풋내만 가득할 뿐, 막상 베어물면 텁텁하고 신 맛이 나는 덜 익은 사과를 보는 것 같았다. 버릇이 잘못 든 애가 어디까지 기어오르는 지 확실히 볼 수 있다.
에섹스의 몰락에 대해서는, 추밀원의 다른 신하들이 에섹스를 굳이 계략에 빠뜨리려 했다기 보다는 에섹스 본인이 화를 자초한 부분이 너무 많았다. 모함도 있기는 있었겠지만서도 이런 부분이 영화에서 너무 드러나니까, 그렇게 내쳐져도 할 말이 없어 보였다. 그 아버지에 그 아들 아니랄까봐 여자 임신시키고... 그것도 빼도박도 못하게 추밀원 의원 중 하나인 월싱햄 경(패트릭 말라하이드)의 딸이었다. 어이구. 그걸로 확실히 신임을 잃은 뒤로 아무것도 제대로 한 게 없는 듯. 그 과정이 보면서 짜증도 나고 그랬던 게, 본인의 위치를 파악을 못하는 모습을 보여줘서 참 그랬다. 신임을 얼마나 잃었는지, 자기가 어떤 부분까지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몰라서 너무 설쳐대니까. 그렇게 총애받던 남자가 한 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져서 국가에 대한 반역죄로 죽는 것을 보곤 세상사 허무하구나 싶었다.
고 뒤로 마음을 정리하고 통치에 힘쓰는 모습이 잠깐 나오고, 남은 건 죽음인데 엘리자베스의 죽음은 적절한 모습으로 그려진 것 같다. 사랑했던 사람들을 떠나보내고(그 중 한명은 자기 손으로 직접 죽이게 되었고) 가슴속이 텅 비어버린 듯한, 고목나무 같은 모습으로 자기 죽음을 받아들이는 게 선선하면서도 무겁게 다가왔다.
덧붙이면 추밀원 의원들과 엘리자베스 여왕이 밀고 당겨대는 장면들도 꽤 재미있었다. 항상 나오는 세 명을 보는 재미가 있는데, 월싱햄과 윌리엄 세실(이언 맥디어미드)과 그의 아들 로버트 세실(토비 존스). 로버트야 후반부에나 나오니까 진중한 모습이 많았다 쳐도 앞의 두 사람은 여왕에게 실컷 얻어맞는 장면 같은 게 웃겼다... 그리고 그 진지한 로버트 세실은 여왕과 둘이 있을 때 '피그미'라고 불리워서ㅜ.ㅜ... 뭐 여왕이 나중에 가서는 애칭이라고 해주긴 했다만 본인 속이 좋진 않았을 것 같은데.
기무니가 이쪽 왕들은 '일하는 기계' 같았던 반면 저 쪽은 휴식은 또 확실하게 취해주는 면이 있다고 그래서 고개를 끄덕였다. 확실히 파티라던가, 왕이 춤춘다던가 하는 장면들은 우리나라 배경에서는 전혀 떠오르지 않았다. 저 쪽 왕들에게 좀 더 자율성이 있었던 것 같다. 동시에 암살 위협도 배는 많은 것 같고... 종교 문제는 영화로만 봐도 골머리가 아프다. 그 쪽의 가치가 내 머릿속에 잘 박혀있지가 않다 보니까 왜 저런 걸로 싸워? 왜 남의 나라 일에 참견이야? 하는 부분이 있기도 했다. 이건 내가 그 쪽 사람이 아니어서 확실히 이해하지 못할 것 같다.
배우들 연기는 말 할 것도 없이 좋은데, 특히 헬렌 미렌의 엘리자베스 1세 연기는 너무 좋았다. 온통 냉철하다가도 한 순간에 감정적이 되기도 하는 모습들. 얼음같다가도 화르륵 타오르는 모습들은 보는 내내 질리지가 않을 만큼 좋은 연기였다. 제레니 아이언스나 휴 댄시는 그 역할 때문인지 곱게 보이진 않았지만 각각 매력이 있었다. 제레미 아이언스는 진중할 땐 진중하면서도 어떨 땐 비열해 보이고, 치졸하기 짝이 없어보이는 변화를 보여줬고 휴 댄시의 경우엔 항상 열혈인 모습이었지만 마지막에 확 진지해진 모습을 보고 살짝 놀랐다. 추밀원 의원들은 다 연기가 좋았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토비 존스의 연기가 좋았던 게, 어떻게 보면 무표정인데 거기에서 감정이 다 느껴진는 부분들이 있었다. 확실히 연기들은 흠잡을 데 없는 듯.
쓰고보니 불평도 있은데 이것 저것 사건이 많아서 확실히 재미는 있는 편이었다. 연애 이야기랑 역사를 잘 편집해서 좋았다. 난 역사물을 별로 즐기지 않는 편인데도 그럭저럭 재미있게 봤다. 역사물에 관심있는 사람이면 훨씬 더 재미있게 볼 거라고 생각한다.
'마음의 양식 > 때때로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리타 (Lolita, 1997) (0) | 2010.04.27 |
---|---|
데미지 (Damage, 1992) (0) | 2010.04.16 |
행운의 반전 (Reversal Of Fortune, 1990) (2) | 2010.04.09 |
공주와 개구리 (The Princess And The Frog, 2009) (0) | 2010.04.06 |
베니스의 상인 (The Merchant Of Venice, 2004) (0) | 201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