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인지 요새 SF/판타지 계열을 많이 보고 읽는 느낌이 나네. 어 별로 그런 건 아니고 어쩌다 보니... 포스터는 일부러 이거 넣어봄. 옛 향기가 물씬 나네요. 1982년에 개봉했다가 1993년에서 디렉터 컷으로 다시 재개봉한 작품. 미래를 다루고 있는 옛 영화들에선 그 특유의 촌스러움이 있는데 이 영화는 상대적으로 그게 엄청 덜했다. 어떤 부분에선 이게 최근의 영화들보다도 더 미래상황을 멋지게 그려냈다는 느낌을 받았다. (설정 말고 화면의 미학에서 하는 말이다.) 특히 도심의 모습을 비춰줄 때에는 되게 현실적인 미래상 같았다.
SF명작이라길래 봤다. 보면서 아 이거 너무 우울해서 이런 게 흥행했었나 싶었는데, 흥행한 건 아니고 SF팬들 사이에서 전설의 레전드ㅋ가 되고 그게 전해지면서 고전 걸작이 된 거더라. 그럼 그렇지... 막 액션영화처럼 화려한 것도 아니고, 침침하고 습윤한 분위기 속에서 우울하고, 운명적인(그래서 끝이 보이는) 이야기가 진행된다. 거기에 전개속도도 다른 비슷한 류의 영화들에 비해 좀 느리고 스토리에 큰 기복이 없는 편. 난 설정 즐기느라 느릿느릿 보면서 나름 재미있었는데 대중의 취향은 아닐 듯? 그래도 명작으로 취급받는 이유는 여전히 남아 있어서 보기를 추천.
21세기초 타이렐사(The Tyrell Corporation)는 리플리컨트(Replicants: 복제인간)라고 알려진 사실상 인간과 동일한 진보적 넥서스 단계(Nexus phase)의 로봇 진화(Robot Evolution)를 이뤘다. 이중 넥서스 6(Nexus 6 Replicants)은 힘(strength)과 민첩성(agility)에 있어선 그들의 창조주인 유전공학자들(the genetic engineers)을 능가했고 지능(inteligence)에 있어선 최소한 그들과 대등했다. 복제인간들은 다른 행성(Off-world)들의 식민지화에 이용된 노예였는데, 어느 넥서스 6 전투팀(a nexus 6 combat team)이 식민 행성에서 유혈 폭동을 일으키자 지구로 잠입한 복제 인간들에겐 사형 선고가 내려졌고, 특수경찰대(special police squads)인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 Units)는 복제인간들을 사살하란 임무를 하달 받는다. 그 임무는 사형 집행(execution)이 아니라 해고(retirement)라고 불리웠다.
이게 영화 시작 때 나오는 기본 바탕이 되는 설정. 복제인간 스토리는 이미 다른 곳에서도 많이 봤지만, 블레이드 러너는 좀 달랐던 게, 여기서는 복제인간들이 가진 수명의 한계성이 비극을 강조한다. 겨우 4년의 수명을 가진 복제인간.
인간과 같은 육체를 같고, 인간과 같은 (아니 더 뛰어난) 지능을 갖고, 이제는 감정까지 가지게 된 복제인간들을 인간과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가? 질문이 꽉꽉 이어지는 테스트 외에 그들을 가려낼 방법이 없다면, 인간과 복제인간을 나누는 기준은 어디에 남아있으며,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인간다움'은 무엇으로 가려질 수 있는가. 이런 철학적인 물음을 더 깊게 할 수 있는거다. 단순히 복제인간에 대한 것 뿐 아니라, 인간이 인간으로서 가지는 특질이 뭐가 있나 생각해보게 한다.
블레이드 러너인 형사 릭 데커드(해리슨 포드)가 행성에서 탈출한 리플리컨트 넷을 잡는 게 스토리의 기본 뼈대. 거기에 복제인간을 만드는 회사인 타이렐 사에서 만난, 자신이 복제인간인줄도 몰랐던 복제인간 레이첼(숀 영)과의 관계가 추가되면 이야기가 끝난다. 릭 데커드의 추적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긴 하지만, 보면 볼수록 이 스토리의 주인공들은 블레이드 러너가 아닌 복제인간들이다. 캐릭터만봐도 데커드는 좀 심심하다.
넥서스 6 전투팀 넷은 각자 강한 개성을 보여준다. 지휘자 격인 로이 베티(룻거 하우어), 전투용 레온(브라이언 제임스), 살인 훈련을 받은 조라(조안나 캐시디), 위안부용 프리스(다릴 한나). 모두가 도망자이며, 한정된 삶을 어떻게든 늘여보려 노력하고 있기에 그 모습이 꽤 처절하다. 그들을 대하는 인간들의 태도가 더욱 그들을 비참하게 만든다. 목숨을 늘이려 타이렐을 만나려던 그들이 추적을 거듭해 유전과학자 세바스찬(윌리엄 샌더슨)을 만났을 때, 세바스찬은 그들의 정체를 알고 "뭔가 보여줘." 라고 한다. 그들은 인간들과 다를 게 없다. 따라서 보여줄 것도 없다. 조라는 세바스찬에게 농담처럼 말한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그들은 생각하고, 느끼고, 숨쉰다. 그리고 그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 휩싸여있다. 마치 인간처럼. 로이 베티를 만나게 된 타이렐 회장(조 터켈)의 반응은 한 술 더 떴다. 그들을 인간이라기보다는 자신이 만든 뛰어난 창조물 정도로밖에 보지 않았으니까. 그에게 아버지라 말하던 로이베티가 결국 그를 잔인하게 살해할 때의 심정이 조금은 이해가 갔다. 존속살해의 느낌을 주던 이 장면은 잔인함보다는 오히려 슬픔이 느껴졌다.
볼수록 데커드가 주인공이 아니었던 것 같았던 게, 결국 다른 넥서스 6를 모두 '해고'하고 로이 베티만 남게 되었을 때, 로이 베티가 보여주는 감정의 깊이가 데커드가 보여주는 것들보다 더 컸기 때문이다. 공포속에 살아본 적이 있느냐 묻는, 죽은 프리드를 애틋하게 끌어안는 그의 모습은 너무나 인간적이다. 데커드는 그저 무뚝뚝한 표정만 지을 뿐이니까... 게다가 그렇게 데커드를 쫓던 로이 베티가 그를 살려주고, 그 앞에서 정말이지 낭만적인 모습으로 죽어갈 때 그는 이미 이 영화의 주인공이 되어 있었다. 참 안타까운 장면이었다.
레이첼은 자신이 복제인간인지도 몰랐던 복제인간. 다른 복제인간들보다 더 인간에 감화되어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데커드와 함께하게 되는 것만 보아도... 여튼 데커드 쪽이 마음을 돌려먹었으니 같이 도망다니겠지. 데커드는 원래부터 좀 복제인간을 죽이는 데 회의감이 있었던 것 같은데(죽인 후의 태도를 봐도) 로이 베티의 죽음이 그를 가장 크게 변화시킨 듯 하다.
감독이 개봉한지 십년도 넘어서 사실 데커드도 복제인간이었다. 라고 말했다더라. 하지만 뭐 꼭 그렇게 안믿어도 상관은 없을 듯. 보면서 데커드가 복제인간아냐? 이런 생각을 했기에 뜬금없진 않았다만, 꼭 그렇게 믿을 필요도 없는 느낌? 복선을 깔긴 깔았는데 그걸 확실히 드러내 준 것도 아니어서, 뭐 딱히 보면서 복제인간이구나! 하고 확신케 한 장면이 없다. 그리고 이런 모호함이 오히려 이 영화 속을 꿰뚫는 주제와 비슷해서... 인간과 복제인간을 구분케하는 특질은 무엇인가. 데커드가 복제인간이라면, 어떻게 그걸 구분해낼 수 있는가.
설정이 심오하고 재미났다.
'마음의 양식 > 때때로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마스 스타! (Nativity, 2009) (2) | 2011.01.11 |
---|---|
필립 모리스 (I Love You Phillip Morris, 2009) (0) | 2011.01.10 |
드래곤 길들이기 (How To Train Your Dragon, 2010) (0) | 2011.01.01 |
섹스 앤 더 시티 (Sex And The City, 2008) (0) | 2010.12.29 |
패트릭 1,5 (Patrik 1,5: Patrik Age 1.5) (0) | 2010.12.25 |